분양 받았을 시, 대출은 얼마만큼 나오고, 내돈은 얼마나 필요한 지 정리.
일단, 중도금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은 다르다.
중도금대출은 분양가 기준, 주택담보대출은 시세기준으로 나온다.
그래서 보통 잔금 치를 때, 중도금대출을 주택담보대출로 전환한다.
이때, 분양가보다 시세가 높아지면 주택담보대출이 중도금대출보다 더 많이 나오기 때문에 중도금대출상환 뿐만아니라 잔금의 일부 혹은 전체를 주택담보대출로 처리하기도 한다.
잔금 Flow
계약금(10~20%) - 중도금(60%) - 잔금(30%~20%)
(분양가 대비, 공고마다 다르므로 실제 비율은 모집자공고를 꼭 봐야한다.)
대출은 얼마나 나오는가,
첫째, 9억원 아래로만 중도금 대출이 가능하다.
9억 이상의 분양은 중도금 대출이 나오지 않는다. (비규제지역도 안나온다)당연히 9억이상 분양 받을 일 없어 신경 안써도 된다...
둘째, 규제지역에 따라 중도금 대출가능 %가 다르다.
규제지역 | 분양가 대비 대출가능 % |
투기과열지구 | 40% |
조정대상지역 | 50% |
비규제지역 | 60% |
예를들어, 분양가가 5억이라고 했을 때
비율 | 대출 여부 | 금액(5억기준) | ||
계약금(10%) | 10% | 내돈 | 5천만원 | |
중도금(60%) | 투기과열지구 | 40% | 중도금 대출 | 2억원 |
20% | 내돈 | 1억원 | ||
조정대상지역 | 50% | 중도금 대출 | 2억 5천만원 | |
10% | 내돈 | 5천만원 | ||
비규제지역 | 60% | 중도금 대출 | 3억원 | |
잔금(30%) | 30% | 내돈 | 1억 5천만원 |
따라서, 투기과열지구는 내돈 3억(60%), 조정대상지역 2억5천(50%), 비규제지역 2억(40%) 필요하다.
물론 계약과 잔금사이에는 1~2년 정도의 시간차가 있지만 결국 저정도는 현금으로 융통이 가능해야한다.
'N잡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꿀팁) 부동산 볼 때 꼭 알아야 할 사이트 (0) | 2021.07.15 |
---|---|
[7월 분양 예정] 용인 청약 일정 및 분양가, 대출가능금액 정리 (0) | 2021.07.14 |
수원 서남부 구축 아파트 관심 지역. (0) | 2021.07.05 |
수원,시흥,봉담 하반기 분양 예정지역 (0) | 2021.06.22 |
3기 신도시 지역 및 사전청약 조건 및 일정 뜯어 보자 (0) | 2021.06.15 |
댓글